닫기

로그인

논 문 검 색

홈으로 • 마케팅관리연구 • 논문검색

pISSN: 1229-7798

마케팅관리연구, Vol.28 no.4 (2023)
pp.73~90

DOI : 10.37202/KMMR.2023.28.4.73

- 해석수준(Construal Level)에 따른 보이콧 브랜드 구매의도 : 인지된 성공가능성의 매개효과 -

전성률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김윤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본 연구는 최근 크게 주목받는 소비자운동 현상인 보이콧운동에 대한 소비자들의 참여의도가 소비자 들의 해석수준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행 연구들에서는 보이콧 참여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사회집단적 요인들을 주로 탐구해왔다. 그 러나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목표달성 관점에서 보이콧참여에 집중하였다. 특히, 집단 목표로서의 보이 콧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지차이가 보이콧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소비자들의 해석수준(construal level)에 따라 나타나는 낙관주의 편향(optimism bias)이 보이콧연구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석수준이 높은 실험 참가자들이 해석수준이 낮은 실험 참가자들보다 보이 콧 성공 가능성을 높게 지각했으며, 보이콧이 발생한 브랜드 제품의 구매의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효과는 보이콧이 발생한 유형(비윤리적 행위 vs. 가격 불공정성)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소비자들의 보이콧 참여의도와 낙관주의편향의 관계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둘째, 소비자들의 해석수준이 보이콧 성공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 두 가지 다른 보이콧 상황(예: 가 격인상 vs. 윤리적 문제)에서도 적용됨을 확인함으로써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Purchase Intention of Boycotted Brands Based on Construal Level :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Likelihood of Boycott Success

Jun, Sung Youl

Kim, Yoon

This study confirms that consum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boycott movements, a phenomenon recently garnering significant attention, can vary depending on individuals' construal level. Previous studies primarily explored societal factors that directly influence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boycotts.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consumers' participation in boycotts from the perspective of goal achievement. Specificall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nsumers' perceptual differences regarding boycotts as a collective goal on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boycotts. Particularly, we confirmed that the optimism bias, which appears according to consumers' construal levels, can also be applied in boycott research.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s: participants with a high construal level perceived a higher likelihood of boycott success compared to those with a low construal level, leading to a decrease in purchase intention toward brand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a boycott.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these effects did not differ based on the type of boycott (unethical behavior price vs. unfair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boycott participation intention and optimism bias. Second, we aim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impact of consumers' level of interpretation on the likelihood of boycott success and confirming that this applies to two different boycott situations (e.g., price increase vs. ethical issues).

다운로드 리스트